책으로 보는 세상
<1984년 by 조지오엘> 전체주의에 맞선 개인의 고뇌와 대한민국 민주주의!!
센스쟁이야
2024. 12. 5. 23:16
728x90
조지 오웰의 『1984』는 전체주의의 극단적 모습을 그린 디스토피아 소설이다.
소설의 배경은 완전히 통제된 가상 국가 오세아니아로, 이곳은 “빅 브라더”라는 절대 권력에 의해 지배된다.
모든 시민은 텔레그램이라는 현재의 cctv같은 장치로 끊임없는 감시를 받으며,
역사와 언어마저 왜곡당해 진실을 알 권리를 잃어버린다.
소설의 주인공 윈스턴 스미스는 진실을 왜곡하는 체제에 회의를 느끼는 평범한 당원이다.
그는 진리부라는 기관에서 역사 기록을 조작하는 일을 하면서 체제의 부조리를 깊이 인식하게 된다.
빅 브라더는 “전쟁은 평화, 자유는 예속, 무지는 힘”이라는 슬로건으로 국민을 세뇌하고,
언어를 단순화한 신어(Newspeak)를 통해 비판적 사고를 억압한다.
윈스턴은 체제에 반발하는 마음을 품고,
체제에 저항하는 상징적 존재로 믿었던 오브라이언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이는 함정이었고, 그는 체제에 대한 반역 혐의로 체포된다.
이후 끔찍한 고문과 세뇌를 통해 결국 자신의 신념을 배반하고, 빅 브라더를 사랑하게 되는 비극적인 결말에 이른다.
윈스턴의 이야기는 개인의 자유와 진실을 억압하는 전체주의의 잔혹함을 여실히 드러낸다.
동시에 억압적인 권력에 맞선 개인의 고뇌와 좌절을 통해 자유와 정의의 가치를 더욱 강조한다.
윈스턴이 겪는 전체주의적 억압은 대한민국의 계엄선포와 민주화 운동을 떠올리게 한다.
특히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령은 국민의 기본권을 억압하고,
군부의 폭력적인 진압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려 했던 시기로,
『1984』의 디스토피아와 비슷한 맥락을 보여준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역사는 『1984』와는 다른 희망의 결말을 만들어 냈다.
억압적인 권력에 맞선 국민들은 1987년 6월 항쟁을 통해 직선제 개헌을 이끌어냈으며,
이후 민주화를 지속적으로 이루어냈다.
이는 윈스턴이 실패한 자유와 정의의 회복을 대한민국이 집단적 연대와 노력으로 이뤄냈음을 보여준다
『1984』는 독자들에게 민주주의와 자유의 가치를 상기시키며,
이를 지키기 위한 끊임없는 경계를 강조한다.
대한민국의 계엄선포와 민주화 투쟁은 이러한 교훈을 실천한 생생한 사례이다.
윈스턴의 좌절은 전체주의가 강요하는 절대 권력 앞에서 개인이 얼마나 무력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지만,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은 개인과 집단의 연대를 통해 전체주의적 억압을 극복할 수 있음을 증명한다.
따라서 『1984』를 읽으며 대한민국의 계엄선포와 민주화 운동을 떠올리는 것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책임과 희망을 되새기는 일이 되어야한다.
우리는 과거를 통해, 자유와 정의를 위한 투쟁이야말로 진정한 정저구현(正著具現),
즉 정의를 세우고 실현하는 길임을 배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