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반도체 열기 식자 '바이오·밸류업'으로 갈아탄다· (24.9.3)

by 센스쟁이야 2024. 9. 2.
728x90

상반기 증시 상승세를 이끌었던 반도체 대신 새로운 주도주로 바이오주와 은행·자동차 등 밸류업 수혜주가 부상하고 있다.

7월부터 미국 빅테크와 함께 주가가 지지부진했던 반도체 업종에 투자한 사람들은
8월 말 엔비디아가 실적을 발표하기만 기다렸으나 엔비디아주가 역시 실적과 관계없이 모멘텀을 얻지 못했다.

특히 8월부터 본격적인 하락이 시작된 달러값 때문에 반도체 수출이익이 줄어드는 상황이어서
앞으로 반도체보다 바이오나 내수주들의 주가 상승여력이 더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수출주가 주도주로 복귀하는 시점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달러값이 하락을 종료하는 이후가 될 것이며
9월은 비수출주에서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정책 불확실성과 경기 둔화 우려를 반영하면서
설비투자 증가세가 제한되기 때문에 반도체 전방 및 소재·부품·장비 업체들의 실적 증가세 역시 주춤할 수 있다.

반면 9월에는 밸류업지수 발표도 예정돼 있어 그동안 주목받아온 금융주와 자동차업종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이란 분석도 제기된다.
관련상장지수펀드(ETF)가 출시되면 자금이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고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자동차 업종은 실적 불확실성에 7월까지 주가가 지지부진했지만
지난주 현대차가 인베스터데이에서 발표한 주주환원책이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으며 주가상승세에 올라탔다.

은행은 금리 인하 시기 순이자마진 하락에도 대손비용률 부담 완화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증권업종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와 충당금 부담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제약·바이오주는 대규모 장기 투자가 필수적이라 지금처럼 금리 인하 사이클이 시작될 때 수혜를 보는 업종이다.
또 실적 이슈에서도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최근 강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