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국내외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지면서 주요 시중은행의 정기예금으로 막차 수요가 계속 몰리고 있다.
5대 은행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정기예금잔액이 올해 7월 한달간 18조원 넘게 증가한데 이어 지난달에도 16조원대 뭉칫돈이 추가 유입됐다.
올해 7월에 이어 8월에도 정기예금의자금이 급증한 것은 비록 정기예금금리가 이미 기준금리 수준 이하로 내려갔지만
향후 금리 인하기에 접어들 경우를 고려하면 지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판단 때문으로 해석된다.
5대 은행에서 판매 중인 정기예금상품 가운데 기준금리(연 3.5%)보다 높은 평균금리를 적용받는 것은 없지만
금융소비자 입장에선 지금이 '고점'이라고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2일 5대 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이들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925조6659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달(909조3806억원)과 비교해 16조 2853억원이 늘었다.
정기예금잔액은 올해 4월까지 하락하다 5월 (16조8242억원), 6월(1조4462억원), 7월(18조2282억원)에 이어 4개월 연속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7, 8월의 증가세가 눈에 띈다.
정기적금의 경우도 지난달 잔액이 36조7917억원으로, 전달 대비 1조602억원 늘었다.
3월까지 감소세였던 정기적금은 4월부터 증가세로 돌아선 뒤 매월 1조원 이상씩 불어나고 있다.
또 지난달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늘어난 가계부채의 증가세를 차단하기 위해 시중은행들이 앞다퉈 대출금리를 올린 가운데,
일부 은행에서 예대금리차 조정을 위해 정기예금에 특별금리를 부여하자 고금리를 따라 고객들이 몰린 점도 영향을 줬다.

'경제, 경영 MB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풍낙엽, 가을에 증시 약세(24.9.4) (5) | 2024.09.04 |
---|---|
역대 최대 발행' 국고채 금리 3%대로 뛰어(‘24.9.3) (4) | 2024.09.03 |
9월부터 Fed 금리 인하하면 주가 상승할 것이다. 네이버플랫폼, 소프트웨어, 미디어 교육, 2차전지, 호텔레져 성장주 등 주목 (0) | 2024.08.16 |
sk하이닉스 올해 영업이익 계속 증가 예정, 빚 갚고 투자/ 신용등급과 전망 높아짐, 반도체 침체위기 가장 빠르게 극복 (0) | 2024.08.16 |
저 대신 굴비 내려가요. 주류, 배세트, 건강식품 순 / 추석바캉스트렌드 보편화(2024.8.16) (0) | 202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