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경영 MBA

<홍춘욱의 최소한의 경제 토픽>1. 부상하던 중국은 왜 혐오의 대상이 되었을까, 자의식이 넘 큰 중국

by 센스쟁이야 2024. 10. 27.
728x90

1. 1840년 아편전쟁 이후 100년에 걸친 굴욕의 역사를 맛봄

  - 덩샤오핑의 유시, 도광양회를 철저하게 따름
    <도광양회> :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때를 기다리며 실력을 기른다.
     경제적으로 세계 톱 레벨이 될 때까지 미국과 사이좋게 지내고 인내하라

2.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중국몽이라는 단어가 대세로 등장
   -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이루는 것 : 48개 금메달 종합 1위

3. 2008년 말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
  - 금융위기 이후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이 심각한 침체에 빠지자
    중국이 민주주의국가에 비해 훨씬 우월하다는 주장을 펼침.
   이들의 주장을 정리한 것이 바로 '베이징 컨센서스'
   미국이 주도하는 경제질서(자유무역을 촉진하는 한편, 정부의 규제를 완화해나가는 것)인 워싱턴 컨센서스의
   대안이라는 면을 강조하기 위해 붙인 이름

   베이징 컨센서스는 중국식의 '정부 주도 시장경제 발전 모델'로 요약
  중국은 자신의 성공 모델을 해외로 수출하겠다는 야심을 품음.

   2013년 시진핑 주석이 카자흐스탄을 방문해 '실크로드 경제벨트'를 언급하면서부터 '일대일로' 프로젝트가 시작됨


4.  자신감에 지나쳐 다른 나라를 공격하기 시작,
    특정 국가의 제품 소비자는 ‘비애국자’로 몰며 외국 상점 부수고 외국인 폭행

   문제를 키운 것은 중국 정부의 비호를 받은 집단 소분홍
   소분홍은 중국 당국이 조직한 것으로 보이는 '분노청년'이라는 조직으로,
   이들은 중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 대해 강한 분노를 느끼는 극단적 민족주의자로 행동함.

   이들은 당시 쯔위의 태도에 성의가 없다는 이유로 이른바 '출정'을 단행했죠
   출정이란 적으로 간주된 회사나 개인에 대해 무차별적인 테러를 저지르는 것입니다.


5. 중국 정책 전환의 부작용
  - 공급과잉 : 미국 경제가 장기 저성장 국면이 지속되자 일자리 감소에 더 주목 시작
  - 국가 부채 크게 늘어난 가운데, 정부 투자의 효율성 크게 떨어짐
    2017년 슝안 신도시 프로젝트(약 835억달러) 투입했으나 현재는 성공했다고 말하기 힘듦
  - 제조 2025 정책, 정부주도 첨단산업 유성(3,000억달러), 다른 경쟁국의 반발 피할 수 없음, 미국의 대응

6. 2020년 이후 기나긴 침체에 빠짐, 잘나가던 중국 경제가 저성장의 늪에 빠진 이유
  - 2023년 6월 중국의 16~24세 일업률은 21.3%를 기록
  - 굶주리고 교육도 제때 받지 못한 4억 베이비붐 세대. 1962~1975년 4억명 태어남
  - 마오쩌둥의 문화대혁명 때문에  제대로 먹지 못하고 교육도 받지못함.
    10년 동안 모든 대학과 인문계 고등학교 문 닥고 도시의 지식인들 지방으로 쫓겨 내려감

  - 좁혀지지 않는 농촌과 도시의 격차 : 1958년부터 생긴 호구제도
    호구제도란 중국의 인구 등록제도로, 도시호구를 가진 사람은 도시 지역의 학교에 진학하고 주택 구입, 의료 서비스 이용 가능
    반대로 농촌호구를 가진 사람은 도시지역에서 교육,의료, 주거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음,
    인구의 64%가 농촌 호구로 농민공의 자녀들 도시 교육을 받을 수 없어 양극화 심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