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미국은 제조업 중심에서 금융산업 중심으로 산업구조 개편하였다.
1980년대 생산성지수 : 32.68(1달러 부채로 만들 수 있는 가치)
2020년대 생산성지수 : 7.86(생산성 지수 하락)
- 생산성지수 하락 원인 : 제조업의 탈미국화
미국 노동자 월급이 급격하게 올라가고, 노동법 강화되면서 기업의 이윤 떨어지자 미국 자본은 인건비와 생산비용 저렴한 동남아시아로 이전했다.
제조업의 공동화 현상 벌어짐
- 제조업에서 금융투자로 산업구조 개편되면서 빈부격차 커짐
1980년 이전 소득 증가율과 2020년 소득증가율 격차 커짐
금융시장에 투자하는 사람과 투자하지 않는 사람의 빈부격차 커짐
- 2020 코로나 19 펜데믹 기간에 미국은 유동성 4조달러 풀었고,
자국민에게 인당 3,000달러 재난지원금 지급했으나 그 돈은 부동산 월세로 지급되고, 소유자는 금융자산에 투자
이때부터 미국 S&P500지수 고공행진
* 경제쇼크가 닥치면 정부는 재정 정책을 펼친다(투자 확대, 설비 투자, 돈을 찍어 유동성 공급자 역할 양적 완화정책)
- 세계화, 경제성장, 통화유동성 폭증은 부의 양극화 확대

'경제, 경영 MB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주식 절반 판 버핏, 미국판 올리브영, 항공부품, 에너지, 보험주 샀다.(2024.8.16) (0) | 2024.08.16 |
---|---|
비트코인 최근 가격하락 주요 요인 (0) | 2024.07.07 |
미래는 AI로 통한다. 모든 사람이 부러워할 엔비디아 급상승 (0) | 2024.07.03 |
AI가 바꾼 일자리 - 로봇 설치기사, 전기자동차 조립원, 신재생에너지관련 관리자,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 돌문보건사 (1) | 2024.07.02 |
투자의 기본원칙 : 내재적가치 파악(ROE) 15%이상일때 투자하라 (0) | 2024.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