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철학사>
1. 생애와 배경
맹자 (Mencius, 372-289 BC)
• 출생과 성장: 맹자는 기원전 372년 중국 주나라 시대에 태어났습니다. 그의 이름은 맹가(孟軻)이며, 자는 자여(子輿)입니다. 공자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유학의 대표적인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성장했습니다.
• 교육과 철학: 맹자는 인(仁), 의(義), 예(禮), 지(智)의 덕목을 강조하고, 인간 본성이 본래 선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주장하며, 덕치주의(德治主義)를 펼쳤습니다.
• 활동: 여러 제후국을 순방하며 자신의 철학과 정치 사상을 전파하려 했습니다. 맹자는 백가쟁명(百家爭鳴)의 시대에 공자의 유교 사상을 발전시킨 인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사망: 기원전 289년에 사망했습니다. 그의 사상은 제자들에 의해 정리되어 《맹자》라는 책으로 전해집니다.
맹모 (Mencius’ Mother, 장씨)
•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맹자가 어렸을 때, 맹모는 아들의 교육 환경을 위해 세 번 이사를 했습니다. 처음에는 묘지 근처에 살았으나 아이가 장례식을 흉내 내는 것을 보고 시장으로 이사했습니다. 그러나 시장에서도 좋지 않은 영향을 받자, 학문을 중시하는 곳으로 이사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자녀 교육에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고사로 유명합니다.
• 단기지교(斷機之敎): 맹자가 학업을 중도에 그만두려 하자, 맹모는 베를 짜다가 베틀의 실을 끊어버렸습니다. 이는 학문을 중단하는 것이 마치 직조를 중단하는 것처럼 중대한 손실이라는 교훈을 주기 위함이었습니다.
맹자의 철학과 어록은 여전히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가르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의 사상은 인(仁)과 의(義)를 중심으로 한 인간의 도덕적 가치와 올바른 정치의 본질을 강조합니다.
2. 주요 철학 사상
• 성선설(性善說): 맹자는 인간 본성이 본래 선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선한 본성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믿었습니다. 이를 통해 도덕적 자아를 찾고 선한 행위를 통해 인격을 완성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 왕도정치(王道政治): 맹자는 덕치주의(德治主義)를 주창하였습니다. 그는 인의(仁義)를 바탕으로 한 정치가 가장 이상적이며, 덕을 갖춘 군주가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민본주의(民本主義): 맹자는 백성의 행복과 안녕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삼았습니다. “백성이 가장 귀중하고, 사직이 그 다음이며, 군주는 가벼운 존재”라는 그의 발언은 민본주의의 핵심을 잘 나타냅니다.
3. ‘민심이 천심이다’의 의미와 배경
• 배경: 맹자는 여러 제후국을 순방하며 자신의 철학과 정치 사상을 전파하던 중, 군주들에게 백성의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 발언의 맥락: ‘민심이 천심이다’는 맹자가 군주들에게 백성의 마음을 잘 헤아려야 하며, 백성의 뜻을 하늘의 뜻으로 여겨야 한다는 뜻으로 한 말입니다. 이는 그의 민본주의 사상과도 일치합니다.
맹자의 어록 50개
1. 인시효자 인지의(仁是孝之仁, 義是孝之義)
• 인(仁)은 효(孝)의 인(仁)이요, 의(義)는 효(孝)의 의(義)이다.
2. 인불사인지심(人不死於人之心)
• 사람은 사람의 마음을 잃지 않는다.
3. 천하지본재국, 국지본재가, 가지본재신(天下之本在國, 國之本在家, 家之本在身)
• 천하의 근본은 나라에 있고, 나라의 근본은 가정에 있으며, 가정의 근본은 개인에게 있다.
4. 민위귀, 사위경, 군위경(民爲貴, 社稷次之, 君爲輕)
• 백성이 가장 귀중하고, 사직이 그 다음이며, 군주는 가볍다.
5. 인지초심, 불가실야(人之初心, 不可失也)
• 사람의 초심은 잃어서는 안 된다.
6. 견인불견(見仁不見)
• 인(仁)을 보면서도 보지 않는 것과 같다.
7. 호인자는 인지지기야, 자인자는 인지보야(好仁者는 仁之知己야, 自仁者는 仁之報也)
• 인(仁)을 좋아하는 사람은 인의 벗이요, 스스로 인을 행하는 사람은 인의 보답이다.
8. 지인자능지기, 지기자능지국(知人者能知己, 知己者能治國)
• 남을 아는 사람은 자기를 알고, 자기를 아는 사람은 나라를 다스릴 수 있다.
9. 천하지도, 일성인지본심(天下之道, 一成人之本心)
• 천하의 도는 한 사람의 본심을 이루는 것이다.
10. 대장부지중야, 필거인지이승대의(大丈夫之中也, 必去人之以勝大義)
• 대장부의 도리에는 반드시 인으로써 큰 의를 이겨야 한다.
11. 유여지인, 필이인지이정기(有余之仁, 必以仁之以正己)
• 남을 사랑하는 인(仁)이 있다면 반드시 인으로써 자기를 바로잡아야 한다.
12. 인자무적(仁者無敵)
• 인(仁)한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
13. 이공기지위천, 위천자불가불후야(以公其志爲天, 爲天者不可不厚也)
• 그 뜻을 공정하게 하여 하늘로 삼으며, 하늘을 따르는 자는 후덕해야 한다.
14. 견선유(見善有)
• 선을 보면 함께한다.
15. 대의자능용소의, 소의자능용대의(大義者能用小義, 小義者能用大義)
• 큰 의리를 가진 사람은 작은 의리를 쓸 수 있고, 작은 의리를 가진 사람은 큰 의리를 쓸 수 있다.
16. 인무외기(仁無外己)
• 인(仁)에는 밖이 없다.
17. 의지지지, 필사인지(義之至者, 必捨仁之)
• 의(義)의 지극한 자는 반드시 인(仁)을 버린다.
18. 능인자, 필능지자(能仁者, 必能知者)
• 인(仁)을 행할 수 있는 자는 반드시 지(知)도 알 수 있다.
19. 대인의, 필견대의(大人之, 必見大義)
• 큰 사람은 반드시 큰 의리를 본다.
20. 치국이인, 필유인지대의(治國以仁, 必有仁之大義)
• 나라를 다스림에 인(仁)을 쓴다면 반드시 인의 큰 의리가 있다.
21. 인자요인지자야, 의자보인지도야(仁者要仁之者也, 義者保仁之道也)
• 인(仁)한 사람은 인을 바라는 자이고, 의(義)한 사람은 인을 지키는 방법이다.
22. 군자불경, 소인불안(君子不敬, 小人不安)
• 군자는 공경하지 않으면, 소인은 안심하지 않는다.
23. 인의지심, 인지본심야(仁義之心, 人之本心也)
• 인의(仁義)의 마음은 사람의 본심이다.
24. 왕도정치, 필유성인(王道政治, 必有聖人)
• 왕도정치는 반드시 성인이 있어야 한다.
25. 천하지본, 인의야(天下之本, 仁義也)
• 천하의 근본은 인의(仁義)이다.
26. 의이무죄, 불가망야(義而無罪, 不可忘也)
• 의롭고 죄가 없으면 잊지 않아야 한다.
27. 지지자, 인자야(智知者, 仁者也)
• 지혜를 아는 자는 인(仁)한 사람이다.
28. 성인지도, 인지정야(聖人之道, 仁之政也)
• 성인의 도는 인(仁)의 정치이다.
29. 유덕자는 필유언, 유인자는 필유신(有德者는 必有言, 有仁者는 必有信)
• 덕이 있는 자는 반드시 말이 있고, 인(仁)이 있는 자는 반드시 믿음이 있다.
30. 지인자필지, 인자자필인(知人者必知, 仁者者必仁)
• 사람을 아는 자는 반드시 알며, 인(仁)한 자는 반드시 인을 행한다.
31. 인의지도, 인지본성야(仁義之道, 人之本性也)
• 인의(仁義)의 도는 사람의 본성이다.
32. 유인자는 필유지, 유지자는 필유인(有仁者는 必有智, 有智者는 必有仁)
• 인(仁)이 있는 자는 반드시 지혜가 있고, 지혜가 있는 자는 반드시 인이 있다.
33. **지성자필
'책으로 보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지 #5, 삼고초려, 와룡 일어나다> (6) | 2024.07.14 |
---|---|
지지자불언, 언지자부지 :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말 함부로 하지 맙시다) (4) | 2024.07.14 |
스토리 마케팅 기술 : 물건을 팔지 말고 이야기를 팔아라 (by 무조건 팔리는 스토리 마케팅 기술 100) (1) | 2024.07.07 |
행복한 삶을 위한 중요한 요소 - 개별성(내 멋대로 살기, 또라이로 살기) by 존스튜어트 밀 자유론 (0) | 2024.06.24 |
<삼국지 #4, 호랑이굴을 벗어난 현덕, 조조와 영웅을 논하다> (0)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