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으로 보는 세상

지지자불언, 언지자부지 :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말 함부로 하지 맙시다)

by 센스쟁이야 2024. 7. 14.
728x90

노자의 철학사

1. 생애와 배경

• 출생과 성장: 노자는 기원전 6세기 경 주나라 시대에 태어난 것으로 전해지며, 그의 생애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거의 없습니다. 본명은 이이(李耳) 혹은 이단(李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관직: 노자는 주나라의 궁중에서 문서 보관자(守藏室之史)로 일했습니다.
• 출가: 노자는 말년에 세속을 떠나 서쪽으로 향하는데, 이 때 함곡관(函谷關)에서 관문지기 윤희(尹喜)의 요청으로 《도덕경》을 저술한 후 사라졌다고 전해집니다.

2. 주요 철학 사상

• 도(道): 노자는 우주의 궁극적 실재로서의 도를 강조했습니다. 도는 만물의 근원이며, 자연의 질서입니다. 인간은 도를 따르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무위(無爲): 무위는 인위적인 노력이나 억지로 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연스럽고 본래적인 상태를 지키며, 인위적인 간섭 없이 삶을 영위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자연(自然): 자연스럽게, 스스로 그러함을 의미합니다. 인위적이지 않고 본래의 모습 그대로를 존중하는 태도입니다.
• 겸허와 부드러움: 노자는 부드러움과 약함이 강함과 강직함을 이긴다고 보았습니다. 겸허하고 유연한 태도가 삶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노자의 주요 저서

《도덕경》(道德經)

• 구성: 《도덕경》은 총 81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도경(道經)’과 ’덕경(德經)’의 두 부분으로 나뉘며, 각각의 장은 노자의 철학적 사상과 도덕적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 내용: 도(道)와 덕(德)에 대한 가르침을 통해 자연스러움, 무위, 겸허, 부드러움 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노자의 주요 어록

1. 도 가도 비상도, 명 가명 비상명(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名) - 도는 도라고 할 수 없으며, 이름은 이름 지을 수 없다.
2. 무유생유, 유유생무(無有生有, 有有生無) - 무에서 유가 생기고, 유에서 무가 생긴다.
3. 상선약수(上善若水) -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
4. 지지자불언, 언지자부지(知者不言, 言者不知) -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5. 천하무약, 이약승강(天下無弱, 而弱勝強) - 천하에 약한 것이 없으며,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긴다.
6. 대기불작(大器不作) - 큰 그릇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7. 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 도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8. 유여실무, 무여실유(有若實無, 無若實有) - 있음은 없음을 닮고, 없음은 있음을 닮는다.
9. 지자불언, 언자부지(知者不言, 言者不知) -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10. 천하지지약, 승천하지지강(天下之至柔, 勝天下之至剛) - 천하의 지극히 부드러운 것이 천하의 지극히 강한 것을 이긴다.
11. 대기불작(大器不作) - 큰 그릇은 만들어지지 않는다.
12. 도생일, 일생이, 이생삼, 삼생만물(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 도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13. 유여실무, 무여실유(有若實無, 無若實有) - 있음은 없음을 닮고, 없음은 있음을 닮는다.
14. 대기불작, 대도불기(大器不作, 大道不器) - 큰 그릇은 만들어지지 않고, 큰 도는 그릇이 아니다.
15. 상덕불덕, 하덕불실덕(上德不德, 下德不失德) - 최고의 덕은 덕을 말하지 않고, 낮은 덕은 덕을 잃지 않는다.
16. 대백약결, 대기약졸(大白若缺, 大巧若拙) - 큰 흰 것은 결점이 있는 것 같고, 큰 솜씨는 서투른 것 같다.
17. 대문하불폐, 대도현불형(大門下不閉, 大道現不形) - 큰 문은 닫히지 않고, 큰 도는 형체가 없다.
18. 천지불인, 이만물위추구(天地不仁, 以萬物為芻狗) - 천지는 인정을 베풀지 않으며, 만물을 지푸라기 개처럼 여긴다.
19. 지족자부, 지지자명(知足者富, 知止者明) - 만족할 줄 아는 자는 부유하고, 그칠 줄 아는 자는 밝다.
20. 천하난사, 필작어이(天下難事, 必作於易) - 천하의 어려운 일도 반드시 쉬운 일에서 시작된다.
21. 강이상류(江以常流) - 강은 항상 흐른다.
22. 대기무궁(大器無窮) - 큰 그릇은 끝이 없다.
23. 덕은 도의 구현이다(德者道之華也) - 덕은 도의 꽃이다.
24. 무위이무불위(無爲而無不爲) - 무위로써 하지 않는 것이 없다.
25. 대제불각(大制不割) - 큰 제도는 끊어지지 않는다.
26. 천하유도, 유개종부모(天下有道, 有蓋從父母) - 천하에 도가 있으면, 모두 부모를 따른다.
27. 도는 매우 부드럽다(道常無為而無不為) - 도는 항상 무위로써 하지 않는 것이 없다.
29. 무욕이무욕(無欲而無欲) - 욕심이 없으면 욕심이 없다.
30. 도는 스스로 이루어짐이다(道自爲成) - 도는 스스로 이루어짐이다.
31. 대제불각, 대화불어(大制不割, 大和不挫) - 큰 제도는 끊어지지 않고, 큰 조화는 부러지지 않는다.
32. 상선약수, 수선이불쟁(上善若水, 水善而不爭) - 최고의 선은 물과 같으며, 물은 선하되 다투지 않는다.
33. 천하무약, 약이승강(天下無弱, 若而勝强) - 천하에 약한 것이 없으며,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긴다.
34. 상선약수, 수선이리만물(上善若水, 水善利萬物) - 최고의 선은 물과 같으며, 물은 선하여 만물에게 이롭다.
35. 대도무형, 대화무상(大道無形, 大和無聲) - 큰 도는 형체가 없고, 큰 조화는 소리가 없다.